abs
본문내용바로가기
KCS
학술발표회
화학이야기
발행지
학회소식
학회소개
KR
EN
학술발표회
상세안내
초록보기
초록통계
초록집 모음
초록등록
기기전시회 안내
화학이야기
주기율표
화학술어
화합물 명명법
네이버 화학백과
연구실험실 안전정보
연구윤리 정보
화학올림피아드
화학포스터 시화대회
발행지
저널
화학세계
화학교육
학회소식
학회소식/공지사항
학술행사/정보마당
언론에 비친 KCS
구인/구직
회원동정
후원사 혜택 안내
지면 광고 안내
학회소개
정관/세칙
소개 및 활동/사업
현임원
역대임원
연혁
역대 학회상 수상자
대한화학회 창립 75주년
분과회/지부
학회자료실
이사회 회의록
단체회원
전자앨범
사무국/오시는 길
로그인
회원가입
회원안내
로그인
회원가입
회원안내
English
메뉴열기/닫기
학술발표회
초록보기
홈
학술발표회
학술발표회
화학이야기
발행지
학회소식
학회소개
초록보기
상세안내
초록보기
초록통계
초록집 모음
초록등록
기기전시회 안내
초록문의
abstract@kcsnet.or.kr
결제문의
member@kcsnet.or.kr
현재 가능한 작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02월 28일 19시 이후 : 초록수정 불가능, 일정확인 및 검색만 가능
제111회 대한화학회 학술발표회, 총회 및 기기전시회 안내
Nonenzymatic Glucose Detection with Hollow Gold Nanoparticles [우수포스터상],[동우화인켐 대학(원)생 선정 포스터상]
등록일
2013년 2월 14일 16시 39분 43초
접수번호
1231
발표코드
ELEC.P-1133
이곳을 클릭하시면 발표코드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발표시간
4월 17일 (수요일) 16:00~19:00
발표형식
포스터
발표분야
전기화학
저자 및
공동저자
조아라
, 강민경
1
, 심준호
2
, 이영미
, 이종목
3
이화여자대학교 화학나노과학과, Korea
1
이화여자대학교 전기분석화학, Korea
2
대구대학교 화학·응용화학과, Korea
3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과, Korea
Recently importance of nonenzymatic glucose detection applying nano-structured material increases to supplement drawbacks of enzymatic sensor, e.g., complexity of device and instability with change of pH and temperature. To match this goal, in present study, hollow gold nanoparticles (hAuNPs) were synthesized in aqueous system containing Co and Au precursor and applied to electrochemical glucose detection. The morphology of hAuNPs was characteriz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and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 Cyclic voltammetrys (CVs) in acidic condition show that real surface area (RSA) of hAuNPs was enlarged by 40 times at least compared with that of bulk Au electrode. Rotating disk electrode (RDE) voltammetry was performed to find the appropriate potential for glucose oxidation. In amperometric i-t curves at Eapp (applied potential) of -0.1 V, the sensitivity of glucose was 3.86 ?A mM-1 which is much higher than interferent signals such as ascorbic acid (AA), acetamidophenol (AP) and dopamine (DA).
상단으로